햇살론 유스는 저금리 서민금융 상품으로 취업준비생 및 청년층만이 이용할 수 있는 대출상품이다. 하지만 보증료는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서 환급될 수 있는데 이 포스트에서 햇살론 유스 이용시 보증료 환급받는 모든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햇살론 유스 보증료란
보증료란
대출을 실행할 때 보증을 위해 필요한 금액으로서 햇살론 유스를 포함한 모든 대출 상품이용 시 진행되는 금액이다. 첫 대출을 실행할 때도 보증료가 지불되어야 하지만, 전세 대출의 경우 연장 할때, 대출을 갱신할 때 보증료를 지불하게 된다.
햇살론 유스 보증료
햇살론 유스 보증료는 아래의 보증료율대로 내가 받는 대출금액과 대출기간에 따라 달라지며, 보증료 선수납이 되지 않는다면 햇살론 유스 대출이 실행되지 않기에 유의해야 한다.
햇살론 유스 보증료율
햇살론 유스의 보증료율은 보증대상에 따라 다르며 자세한 사항은 아래와 같다.
- 사회초년생 : 1%
- 취업준비생 : 0.5%
- *사회적 배려 대상자 : 0.1%
(*사회적 배려 대상자 : 차상위계층, 한부모가구, 조손ㄱ족 가구, 다문화가족 가구, 북한이탈주민, 등록 장애인,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등)
보증료 선수납
햇살론 유스의 보증료는 바로 위에서 살펴본 대로 대출금액과 대출기간에 따라 달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사회초년생 300만원을 1년간 빌렸다고 가정하면, 300만원 *0.5%=15,000원을 1년간 지불해야하는 보증료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보증료 환급방법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중도상환 보증료 환급방법
햇살론 유스는 중도상환 수수료가 없기에 목돈이 생기면 언제든 값을 수 있는 서민금융 상품이다. 중도상환시 보증료는 별도의 신청 없이 환급 계좌로 자동 환급된다. 이 경우 자세한 보증료가 알고싶다면 서민금융 통합지원센터(☎1397)에 전화로 알아볼 수 있다.
두 줄 요약
햇살론 유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중도상환 시 기존 보증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보증기간에 한해 보증료를 환급받을 수 있는 제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별도의 신청은 필요하지 않으며, 남은 일수만큼 계산되어 나의 계좌로 지급되기에 기다리면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