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검다리론 대출 자격 취급은행

징검다리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으신가요?

아마 많은 사람들이 목적지와 목적지를 이어주는 몇 개의 돌이 가장 먼저 떠오르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이처럼 징검다리론은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대출상품입니다. 이렇게만 말하면 두루뭉술하게 들리는 게 당연하실겁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밑에서 이어서 하겠습니다.

징검다리론 관련 필요한 부분만 빠르게 찾아서 보실분은 아래 목차를 확인해주세요.

[adsense]

징검다리론이란 ??

징검다리론이란 정책 서민금융상품 성실상환자를 대상으로 자금지원의 공백 없이 시중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금융상품입니다.

*여기서 정책 서민금융상품(4대 정책상품)은 새희망홀씨, 햇살론, 미소금융, 바꿔드림론을 의미(바꿔드림론은 현재 존재X)

왜 금융당국은 이러한 정책금융상품을 만들었을까요?

이유는 이렇습니다.

A라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A는 평소 소득도 낮고 신용등급도 낮아 시중은행의 대출은 이용할 수 없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A는 서민금융대출(햇살론, 새희망홀씨 등)을 이용합니다. 후에 이를 연체 없이 성실히 상환, 대출금을 모두 갚았습니다.

대출을 문제없이 갚았기 때문에  A의 신용점수는 올라갔을겁니다. 여기서 바로 문제가 생깁니다.

이렇게 올라간 신용점수 때문에 햇살론 같은 서민금융상품과 시중은행 대출 모두를 이용할 수 없는 애매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당사자 A는 어쩔 수 없이 고금리 대출의 덫에 빠질 수도 있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이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과거 서민금융상품을 이용하던 고객이 후에는 자연스럽게 시중은행의 대출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자금융통의 공백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징검다리론입니다.

징검다리론 지원대상

[adsense]

4대 정책상품(새희망홀씨, 햇살론, 미소금융, 바꿔드림론) 중 어느 하나를 완제 또는 성실히 상환*(2년 이상)한 고객 중 신용등급이 5등급 이상인 자

*① 신청일 현재 연체 없음 ② 새희망홀씨, 햇살론 대출금액의 75% 이상 상환

현재는 우리나라는 신용등급이 아니라 신용점수제를 택하고 있기 때문에 신용등급 5등급을 신용점수로 바꾸면 나이스 기준 750점 이상, KCB 기준 698점 이상입니다. (※은행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징검다리론 지원내용

  • 대출금리 : 연 9% 수준 (은행별로 상이)
  • 대출한도 : 최대 3천만원 이내(무보증신용)에서 은행별 자율 결정
  • 대출기간 및 상환방법 : 5년 이내 원(리)금균등분할상환 (거치기간은 최대 1년)
  • 기타 : 성실상환자 및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금리우대 (은행별 자율 결정)

취급은행

[adsense]
  • 국민은행
  • 우리은행
  • 신한은행
  • 하나은행
  • SC제일은행
  • 씨티은행
  • 농협
  • 기업은행
  • 수협
  • 부산은행
  • 대구은행
  • 경남은행
  • 광주은행
  • 전북은행
  • 제주은행

 

이상으로 징검다리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