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격대출의 금리 및 금리산정 방법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적격대출이 갖는 장점과 아쉬운 부분도 이야기 할테니 본인에게 적격대출이 효용이 있는지, 어떤 적격대출이 자신의 상황에 맞는지 살펴보시고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항목만 보고 싶다면, 아래에서 목차를 확인하세요.
적격대출의 금리산정 방식은?
적격대출은 주택금융공사가 국민의 내집마련과 가계부채의 구조개선을 위해 만든 것입니다. 다만, 금리는 시중은행이 상이하게 결정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금리는 어떻게 결정될까요?
–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적격대출의 금리는 시중은행이 알아서 결정하고 시중은행마다 상이합니다.
– 그럼 시중은행들이 자기들 마음대로 정할 수 있느냐면 그건 아닙니다.
– 주택금융공사가 제시한 기준금리를 감안하여 시중은행이 그것은 기준으로 금리를 결정합니다.
금리 차이가 생기는 이유?
– 자신의 신용점수에 따른 금리차이는 없습니다.
– 다만, (기본형) 적격대출 기준 신용평가 시, NICE 신용평가 기준 445점을 넘으면 대출이 가능합니다. 과거에는 1~9등급을 적용했는데, 이런 식으로 등급을 적용했을 때 몇 점차로 인해 등급이 바뀌고 그로인해 대출여부가 갈리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점수제로 변경, 이를 조금이나마 해소하고자 하는 것 입니다.
– 적격대출은 시중은행에 따라 만기 그리고 거치기간이 있고 없고의 차이로 금리차이는 발생합니다.
적격대출의 종류별 금리는 어떻게 될까요?
– 적격대출은 현재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기본형, 금리고정형, 채무조정형 이렇게 3가지가 존재합니다.
– 기본형과 금리고정형 모두 고정금리를 적용하지만, 산정방식 차이로 금리고정형의 금리가 더 낮습니다.
– 채무조정형의 경우 기본형 적격대출의 금리 보다는 높지 않게 적용됩니다.
적격대출의 금리
낮은 금리를 강점으로 갖는 금리고정형 적격대출의 금리는 2022년 2월 3일 기준 40년 만기 3.5% 입니다.
더 자세한 금리를 확인하시려면, 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여기서 주의하실 점은, 주택금융공사에서 표기한 금리는 시중은행의 정보를 모아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금리를 파악하고 싶다면 해당은행에 연락하여 확인하셔야 합니다.
적격대출의 금리, 이것이 아쉬워요.
결론부터 말하면 변동금리와 우대금리가 없습니다.
변동금리 X
– 과거에는 금리조정형 적격대출도 있었지만, 현재 적격대출은 고정금리만 제공합니다.
– 금리조정형 적격대출이 사라진 이유는 과거 미국이 금리 인상 움직임을 보였고, 정부는 이에 대비하여 고정금리 비중을 늘리려는 정책은 펼쳤기 떄문입니다.
– 대출을 받는 입장에서는 변동금리에 대한 선택권이 사라져 저금리 혜택을 못보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우대금리 X
– 보금자리론, 디딤돌대출과 달리 우대금리가 없기 때문에 금리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 그러나 자격조건이 위 2개의 대출에 비해 여유롭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나쁘지 않는 선택이 될 수 있어요.
적격대출은 정책금융상품 중에서는 금리가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다른 상품에 비해 어느 정도 단점을 상쇄시켜줄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대출한도도 더 높고, 보다 높은 가격을 지닌 주택에 대해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우대금리를 받지 못하더라도, 더 좋은 조건일 수 있습니다.
추가로 시중은행이 자체적으로 만든 주택담보대출은 대출을 받기 위해 여러 조건들은 만족해야하지만 적격대출은 그런 조건 없이 같은 금리를 제공합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적격대출의 금리산정 방식에 대한 이야기를 마쳤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은행과 전문가의 상담을 꼭 받아보시고, 본인에게 맞는 전략을 꾸려나가시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