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딤돌대출의 금리에 대해서 알아보고, 우대금리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디딤돌대출은 보금자리론, 적격대출과 마찬가지로 서민들이 내집마련을 돕는 주택금융공사에서 운영하는 주택담보대출입니다. 이 3가지 중에서 비교하면 이자를 기준으로 볼 때, 디딤돌대출이 가장 이자가 낮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디딤돌대출은 자격조건이 필요한데, 조건에 대한 것은 다른 글에서 찾아뵙겠습니다.)
특정 항목만 보실 분들은 아래에서 목차를 확인하세요.
디딤돌대출의 금리
디딤돌대출의 금리를 결정하는 기준은 부부합산 소득수준과 만기가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보금자리론은 부부합산이 아닌 어떤 상품을 선택했는가와 만기가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소득수준 | 만기별 금리 | |||
10년 | 15년 | 20년 | 30년 | |
2천만원 이하 | 2.00 | 2.10 | 2.20 | 2.25 |
2천만원 초과 ~ 4천만원이하 | 2.25 | 2.35 | 2.45 | 2.50 |
4천만원 초과~ 6천만원 이하 | 2.50 | 2.60 | 2.70 | 2.75 |
여기에 나온 본인에게 해당하는 금리를 확인했다면, 거기에 우대금리를 빼서 본인에게 적용되는 금리를 결정합니다.
추가로 생애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신혼부부의 경우 다음과 같이 보다 적은 금리를 적용합니다.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소득수준 | 만기별 금리 | |||
10년 | 15년 | 20년 | 30년 | |
2천만원 이하 | 1.70 | 1.80 | 1.90 | 1.95 |
2천만원 초과 ~ 4천만원이하 | 1.95 | 2.05 | 2.15 | 2.20 |
4천만원 초과~ 6천만원 이하 | 2.20 | 2.30 | 2.40 | 2.45 |
대출 처리기한은 어떻게 될까
주택금융공사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시 최장 70일이 소요됩니다.
- 대출접수 후 ~ 대출승인 : 최장 40일 소요
- 대출승인 후 ~ 대출실행 : 최장 30일 소요
- 대출희망일이 신청일로부터 20일 이후인 건만 접수 가능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어느 것을 고를까
디딤돌대출은 만기까지 고정금리 혹은 최소 10년부터 시작하는 5년 단위의 변동금리 중 고를 수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보금자리론은 고정금리입니다.) 여기서 5년 단위의 변동금리를 선택하면 대출시점의 금리는 5년간 고정이 되고, 이 후에 5년마다 변동일의 금리가 적용되어 다시 5년 동안 고정이 됩니다.
어떤 것이 본인에게 유리한지 꼼꼼히 따져보고 고르시길 바랍니다.
디딤돌 대출의 우대금리 종류
우대금리
- 연소득 6천만원이하 한부모가구 0.5%p, 생애최초주택구입자 · 다문화가구 · 장애인가구 · 신혼가구 연 0.2%p (중복 선택 불가)
- 다자녀 연 0.7%p · 2자녀 연 0.5%p · 1자녀 연 0.3%p 중 적용 (중복선택 가능)
- 전자계약시스템을 이용한 매매계약 <2022.12.31 한시적용> : 연 0.1%p (중복적용 가능)
- 신규 분양주택 가구 : 연 0.1%p (중복적용 가능)
추가 우대금리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본인 또는 배우자)
1년(3년) & 12(36)회차 이상 가입자 연 0.1(0.2)%p, 민영주택 청약 지역별 최소 예치금액 납입 후 1년(3년) 이상 연 0.1(0.2)%p
우대금리 적용 후 최종금리가 1.5% 미만이면, 연 1.5%로 적용
생애최초 주택구입 신혼가구의 경우
우대금리
– 다자녀 연 0.7%p · 2자녀 연 0.5%p · 1자녀 연 0.3%p 중 적용
– 전자계약시스템을 활용한 매매계약 <2022.12.31 한시적용> : 연 0.1%p
– 신규 분양주택 가구 : 연 0.1%p
추가 우대금리
-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본인 또는 배우자) : 1년(3년) & 12(36)회차 이상 가입자 연 0.1(0.2)%p, 민영주택 청약 지역별 최소 예치금액 납입 후 1년(3년) 이상 연 0.1(0.2)%p
- 생애최초 주택구입 신혼가구는 우대금리 적용 후 최종금리가 1.2% 미만인 경우, 연 1.2% 적용
이렇게 디딤돌 대출의 금리와 우대금리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