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상담 3회 후기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에 선발되었다고 이메일, 문자를 통보받은 뒤 상담일정을 정해야한다. 년초에는 비교적 상담인원이 적어서 일정잡기가 수월했었다.

하지만 코로나시국과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에 선발되고 3주 뒤부터 상담이 시작된 이야기를 포스트에 적어보려고 한다.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상담 진행과정

상담기관 위탁

국민취업지원제도의 상담은 각 관할 고용노동부가 여러 직업훈련 업체에 위탁하는 형태로 진행이 되며, 필자는 한국직업지도진흥원에 위탁되어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상담을 진행하게 되었다.

상담사 배정

상담기관이 정해짐과 동시에 상담사도 배정되는데, 애초부터 국민취업지원제도에 본인이 선발되었다고 연락이 오는 사람이 3회동안 상담을 진행해야 하는 상담사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상담 내용

상담 횟수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에 선발되고, 상담사와 첫 상담일정을 잡은 뒤 상담을 진행하게 되는데 여기서 각 상담위탁 기관마다 상담 횟수가 2~3회로 상이하니 본인이 속한 상담사에게 여쭤보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상담 내용

1~3회차 상담의 내용은 크게 지금까지 나의 커리어+희망직종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앞으로의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것이며, 각 회차별 상담 내용은 아래와 같겠다.

1회차 상담 내용

첫 번째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에 선발되고 했던 상담은 주로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상담을 진행했다. 그리고 6개월동안 총 300만원 구직촉진수당을 받을 수 있고, 어떤 활동을 해야 구직촉진수당을 받을 수 있는지 상세하게 알려줬다.

또, 초기상담 확인서를 작성하였는데, 여기서는 재학생여부, *사업자등록증 여부, 최근 6개월 내 국가기관 훈련참여여부, IAP 수립에 관한 내용등에 대해 사전점검하는 부분이다.

(* 사업자등록증이 있어도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선발 및 구직촉진수당을 받을 수 있지만, 그 과정이 일반적인 사람과 다르므로 그 부분은 추후 포스트에서 살펴보겠다.)

2회차 상담 전 준비서류

1회차 상담이 끝나고 준비해야 할 서류는 통장사본직업심리검사(L형)를 꼭 해야한다는 점이었다. 직업심리검사는 워크넷에서 가능하다.

2회차 상담내용

취업계획 및 방향수립

2회차 상담은 앞서 직업심리검사(L형)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가 원하는 직종과 나의 성향을 비교분석하여 앞으로의 취업 방향과 계획을 세우는 것에 중점을 두어 진행했다.

취업하고자 하는 직종이 뚜렷하지 않다면 직업심리검사를 통해 내가 원하는 분야를 조금  더 세밀하게 찾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3회차 상담내용

IAP수립

3회차 상담때는 취업활동계획(IAP)을 수립한다. 취업활동계획은 구직촉진수당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매월 구직촉진수당 신청일을 수립하는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다.

이후 포스트에서 살펴보겠지만, 구직촉진수당 신청일이 1분이라도 지나면 신청 자체가 안되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겠다.

결론

여기까지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총 3번의 상담후기 및 내용에 대해 말했다. 1유형에 선발되었다면 취업을 위한 구직촉진수당을 받아야만 하기에 반드시 상담에 충실해야겠다.

더 읽어보면 좋은 글